"viewport" content="user-scalable=no, initial-scale=1.0, maximum-scale=1.0, minimum-scale=1.0, width=device-width"> 2025년 만우절, 지브리풍 챗GPT 이미지 대유행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만우절, 지브리풍 챗GPT 이미지 대유행

by 도리37 2025. 4. 1.
반응형

 

오늘은 4월 1일, 만우절입니다. 이 날은 전 세계적으로 재미있는 장난과 가벼운 거짓말을 나누며 유쾌하게 웃는 날로 알려져 있죠.

이 만우절의 정확한 기원은 아직도 분명하게 밝혀지진 않았지만 여러 유력한 유래설이 내려오고 있죠.

가장 많이 알려진 설은 프랑스 달력 개정설이라고 해요. 16세기 프랑스는 원래 4월 1일이 새해 첫날이었으나 1564년 샤를 9세가 그레고리력(태양력)을 도입하며 새해를 1월 1일로 바꿨어요. 그러나 시민들 일부가 여전히 4월 1일을 새해로 축하했고, 이를 놀리기 위해 가짜 초대장이나 가짜 선물을 보내는 풍습이 생겼다는 설이에요. 4월의 물고기 설도 있어요. 프랑스에서는 아직도 만우절을 4월의 물고기(Poisson d’Avril)라고 부르는데, 물고기가 잘 안 잡히는 시기인 4월 초에 장난으로 종이 물고기를 사람 등에 몰래 붙이는 놀이가 생겼고, 이 장난이 점차 퍼졌다는 설이에요 그런데, 올해 만우절은 특별합니다. 모두나 약속이나 한 듯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카카오톡 프로필 사진이 ‘그림’으로 대체되고 있는데요. 이 그림을 그린 화가는 모두 동일하죠. 그 이름도 유명한 ‘챗GPT(ChatGPT) 선생님’의 작품입니다. 누가 먼저 시작했는지는 몰라도, 전 세계 수백만 명이 SNS, 카카오톡 프로필 사진을 ‘지브리풍 그림’으로 바꾸며 SNS를 점령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1.  GPT-4o의 등장과 AI 스타일화 이미지 폭발

지난 3월 25일, 오픈AI(OpenAI)GPT-4o 기반 이미지 생성 기능을 공개했습니다. 텍스트로 원하는 스타일을 입력하면 AI가 알아서 그림을 만들어주는 기능인데요. 출시 직후부터 가장 많은 요청은 바로 “지브리풍으로 그려줘”였습니다.

“GPU가 녹고 있다(Our GPUs are melting)” – 샘 올트먼, OpenAI CEO

 

실제로 지브리, 디즈니, 심슨, 스누피, 짱구풍 등 애니메이션 화풍 스타일화 요청이 전체 이미지 생성 요청의 약 25%를 차지할 정도로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2. 하루 최대 8000만 건 요청…지브리풍이 압도적

  • 📌 일 평균 이미지 요청량: 6천만~8천만 건
  • 📌 누적 생성량: 5억 장 이상
  • 📌 스타일화 비율: 약 25% → 1억 장 이상이 지브리풍 등
  • 📌 한국 요청량: 하루 약 20만 장

이 중에서도 ‘지브리풍’은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릴스, 커뮤니티에서 프로필 대란을 만들며 한국 내에서도 빠르게 퍼졌습니다.

 

3.  생성 지연 사태, 왜 발생했을까?

GPT-4o 이미지 생성은 텍스트 생성보다 연산량이 10배 이상 높고, 색감·질감·디테일 구현까지 해야 해서 GPU 자원이 빠르게 소진됩니다. 특히 스타일화는 AI에게 더 많은 리소스를 요구하죠.

이로 인해 사용자들은 “실패했어요, 다시 시도해주세요”, “10분만 기다려달라”는 메시지를 받게 되며, 생성 대기열에서 멈추는 사례도 잦아졌습니다.

 

4.  이미지 생성 시간대 팁

  • 북미 피크타임(한국 기준 새벽~오전): 딜레이 많음
  • 추천 시간대: 한국 시간 오후2시~ 자정
  • 연속 요청 자제: 짧은 시간 내 여러 요청 → 자동 제한 가능

 

5.  만우절, 재미 넘치지만 ‘저작권’은 조심

이 AI 그림 열풍에는 저작권 침해 논란도 함께 떠오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브리풍’은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대표적인 화풍인데요. 이를 AI가 무단 학습했을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죠. 저작권에 문제가 되게 되면 법적으로 여러가지 어려운점이 발생할 수 있죠. 

⚖️ 하지만 현재까지는 ‘화풍 자체’는 저작권 보호 대상이 아님으로 침해 소지는 낮습니다. 다만 특정 캐릭터나 실제 인물의 외형이 포함된다면 문제 소지가 생길 수 있습니다. 때문에 특정 인물이나 캐릭터 등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매우 주의가 필요해요.

 

6.  챗GPT 스타일화 이미지, 시대의 전환점

이번 만우절, 우리는 실시간으로 AI 이미지 생성 시대의 전환점을 목격하고 있습니다. 챗GPT로 만든 지브리풍 그림 하나가 수억 명을 웃게 하고, SNS를 바꾸고, 문화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죠. 이제 “그림 하나”가 새로운 대화, 놀이, 표현 수단이 되는 시대가 되었네요. 지금, 여러분은 어떤 그림으로 카카오톡 프로필이나 SNS프로필을 설정하고 계신가요? 챗gpt로 새로운 프로필을 해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 관련 키워드

  • 2025 만우절 챗GPT
  • 지브리풍 이미지 만들기
  • GPT-4o 이미지 생성
  • AI 이미지 생성 딜레이
  • AI 스타일 프롬프트 인기
  • 오픈AI GPU 과부하
  • 챗GPT 저작권 이슈

※ 본 블로그는 최신 IT 이슈와 AI 기술 흐름을 독자들과 함께 나누기 위한 정보 콘텐츠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