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port" content="user-scalable=no, initial-scale=1.0, maximum-scale=1.0, minimum-scale=1.0, width=device-width"> 우리 아이, 상황극으로 달라졌어요! ADHD 의심에서 집중력 향상까지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우리 아이, 상황극으로 달라졌어요! ADHD 의심에서 집중력 향상까지

by 도리37 2025. 3. 28.
반응형

 

현재 초등학교 3학년 과정을 가정에서 마친 8살 우리 아들. 하지만 5~6살 무렵엔 주의력 부족과 산만함으로 인해 ADHD가 의심될 정도였습니다. 유치원 참여수업에서 아이의 학습 태도와 집중력 문제를 직접 보며 충격을 받았고, 그때부터 본격적인 훈육을 시작했습니다.

 

1.  어린이집, 유치원 적응기

두 번의 어린이집을 다녔고, 선생님들로부터 자폐, ADHD 가능성을 언급받기도 했습니다. 결국 큰 기관으로 옮기며 체계적인 교육 환경을 제공했고, 다행히 아이와 잘 맞는 선생님을 만나며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선생님 교체 후 다시 증상이 악화되어 유치원으로 옮기게 되었습니다.

2.  문제 상황 1: 소풍 불참과 참여수업의 충격

유치원 소풍 불참 통보와 참여수업에서의 아이 모습은 충격이었습니다. 산만한 행동을 보이는 아이를 진정시키기 위해 옆방으로 데려갔고, 선생님의 말 "많이 좋아졌죠?"를 듣고 큰 착각을 했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그날부터 훈육 계획이 시작되었습니다.

3.  문제 상황 2: 혼날 때 웃는 아이

혼나도 웃는 아이. 이유를 물으니 "나도 모르게 웃음이 나와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감정카드를 도입했고, 감정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다는 사실에 놀랐습니다. 상황극을 통해 하루에 한 감정씩, 3번 반복하며 감정 학습을 시작했습니다.

결과는 놀라운 변화였습니다. 입꼬리가 올라간다고 모두 웃는 표정이 아니라는 걸 이해하고, 감정 표현이 서서히 정돈되기 시작했습니다.

4.  문제 상황 3: 규칙 이해하기

점심시간에 젓가락으로 장난친 후, 선생님께 "어차피 줄 거잖아요"라고 한 아이. 분노보단 어찌할 바를 모르는 감정이 앞섰고, 자책도 깊었습니다. 하지만 상황극을 반복하며 아이 스스로 적절한 대응을 연습하게 되었고, 점차 긍정적인 태도 변화를 보였습니다.

5.  훈육 방법: 벽에 붙이는 규칙

문제 행동을 포스트잇에 써서 벽에 붙이기 시작했습니다. 매주 하나씩 고쳐가는 방식으로, 스스로 문제를 인식하고 행동을 통제하게 했습니다. 벽이 가득 차자, 훈육을 결심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6. 훈육의 시작, 선생님의 한 마디

“5살까지는 괜찮아요. 하지만 6살부터는 아이가 다르다는 걸 친구들도 알아요.”

이 말을 듣고 저는 문제를 외면하지 않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아이를 탓하지 않고, 상황 안으로 직접 들어가 함께 해결하기로 결심한 순간이었습니다.

📌 결론: 무조건 상황극! 아들같은 아이라면 특히 상황극 중심의 감정학습과 규칙 훈련이 효과적입니다.
**오늘의 결론 : 무조건 상황극!!! 아들은 상황극!!!! 아들같은 아들은 상황극!!! 

🔍 관련 키워드

  • ADHD 아이 훈육법
  • 감정카드 활용법
  • 상황극 훈육 효과
  • 아이 집중력 키우는 법
  • 유치원 문제행동 대처
  • 아들 훈육 성공 사례

 

※ 이 글은 실제 훈육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된 후기이며, 모든 아이에게 동일한 방식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